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10개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상위 4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5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에콰도르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페루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북중미, 남미, 오세아니아의 4개 팀이 단판 승부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놓고 경쟁하여 오스트레일리아와 코스타리카가 진출하였다. -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199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199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9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어 콜롬비아, 브라질, 볼리비아가 본선에 직행하고 아르헨티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하였다. -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199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199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9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 1위 중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 나머지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가리는 대회로, 브라질과 우루과이가 본선에 직행하고 콜롬비아가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합류했다.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된 스포츠 행사 - UEFA 유로 2020
UEFA 유로 2020은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60주년 기념으로 2021년에 11개국 12개 도시에서 분산 개최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1년 연기, 개최 도시 변경 등의 변수 속에서 이탈리아가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했으나 경기장 난입, 인종차별 논란 등도 있었다.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된 스포츠 행사 - 2020년 하계 올림픽
2020년 하계 올림픽은 2021년 일본 도쿄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개최되었으며, 1964년 이후 56년 만에 일본에서 열린 올림픽이자 아시아에서 2회 이상 개최된 최초의 올림픽이다.
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기간 | 2020년 10월 8일 – 2022년 3월 29일 |
참가 팀 수 | 10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 수 | 89 |
총 득점 | 223 |
경기당 득점 | 2.51 |
총 관중 수 | 1,307,458 |
경기당 관중 수 | 14,691 |
최다 득점 선수 | 마르셀로 마르틴스 모레노 (10골) |
이전 대회 | 2018 |
다음 대회 | 2026 |
통계 | |
최다 득점자 | 마르셀로 마르틴스 모레노 (10골) |
관련 정보 | |
FIFA 월드컵 슬롯 할당 |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자격은 FIFA에서 결정됨 |
2. 진행 방식
남미 축구 연맹 평의회는 2019년 1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이전 6개 대회에서 사용된 같은 지역 예선 구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73] 남미 지역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74][75]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10개 국가대표팀 모두가 예선에 참가했다.
남미 축구 연맹은 2019년 1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이전 6개 대회와 동일한 예선 방식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73] 10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경기 일정은 2019년 12월 17일 10:00 PYST (UTC−3)에 파라과이 루케에 위치한 부르봉 아순시온 컨벤션 호텔에서 열린 추첨을 통해 결정되었다.[4][5][6][7][8]
원래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모두 추첨에서 4번 또는 5번 자리에 배치되어, 어떤 팀도 2개의 더블 매치데이에서 이 두 팀과 모두 경기를 치르지 않도록 할 예정이었다.[9] 하지만, 2019년 11월 16일 남미 축구 연맹 평의회에서 이 결정이 번복되어 추첨은 완전히 무작위로 진행되었다.[10]
남미 축구 연맹 평의회는 예선에 비디오 보조 심판 시스템의 사용을 승인했다.[11]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모든 가맹국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2차례 경기를 치르는 리그 방식 (각국 18경기)으로 진행된다. 상위 4팀은 본선 직행 티켓을 얻는다. 5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58]
3. 참가국
4. 일정
경기 일정은 2019년 12월 17일 파라과이 루케에 위치한 부르봉 아순시온 컨벤션 호텔에서 열린 추첨을 통해 결정되었다.[74][75][76]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경기 일정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2020년 3월에 열릴 예정이었던 1~2차전 경기는 연기되었고,[16] 2020년 9월에 예정되었던 예선전도 2020년 10월에 시작하는 것으로 연기되었다.[18] 2021년 3월 경기(5, 6차전) 역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여행 및 격리 제한으로 인해 연기되었다가,[20] 2021년 9월과 10월에 재개최되었다.[21][22][23]
최종 예선 일정은 다음과 같다:라운드 날짜 1차전 2020년 10월 8일~9일 2차전 2020년 10월 13일 3차전 2020년 11월 12일~13일 4차전 2020년 11월 17일 5차전 2021년 10월 10일 6차전 2021년 9월 5일 7차전 2021년 6월 3일 8차전 2021년 6월 8일 9차전 2021년 9월 2일 10차전 2021년 9월 9일 11차전 2021년 10월 7일 12차전 2021년 10월 14일 13차전 2021년 11월 11일 14차전 2021년 11월 16일 15차전 2022년 1월 27일 16차전 2022년 2월 1일 17차전 2022년 3월 24일 18차전 2022년 3월 29일
5. 경기 결과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아순시온 0명 네스토르 피타나 2 – 1 수아레스
고메스
산체스센테나리오 경기장, 몬테비데오 0명 에베르 아키노 1 – 0 메시 라 봄보네라, 부에노스아이레스 0명 로베르토 토바르 3 – 0 사파타
무리엘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바랑키야 0명 기예르모 게레로 5 – 0 마르키뉴스
피르미누
카라스코
코치뉴아레나 코린치앙스, 상파울루 0명 레오단 곤살레스